병원 신분증 확인 의무화 신분증 깜박 했다면 이렇게 하세요

2024년 5월 20일부터 전국의 모든 병원,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을떄 신분증 지참이 의무화 됩니다. 병원 신분증 확인 의무화 내용과 함께 병원에서 신분증을 깜박 했을 때 대처하는 방법 알려드립니다.

병원 신분증 확인 의무화

우리 실생활에 적용되는 밀접한 제도인 만큼 상세 내용을 알아야겠죠?

시행 날짜

2024년 5월 20일부터

적용 대상

초진, 재진 포함 병원 진료를 받는 모든 환자

목적

  • 부정수급 예방: 이번 제도는 건강보험 무자격자의 부정수급을 차단하고 보험급여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시행되었습니다.
  • 정확하고 안전한 진료: 본인 확인을 통해 환자 본인임을 증명하여 안전한 진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 약물 오남용 예방: 건강보험 대여 및 도용으로 인한 약물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도 기대 됩니다.


본인 확인이 가능한 신분 증명서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때 제출할 수 있는 신분증명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여권
  2. 건강보험증
  3. 주민등록증
  4. 운전면허증
  5. 외국인등록증
  6. 모바일신분증
  7. 국가보훈등록증

위와 같은 신분증은 사본이나 사진으로는 인증이 불가 하니 꼭 실물로 챙겨가셔야 한다는점 참고하세요!

병원 신분증 지참 예외 대상

아래의 경우에는 병원 방문시 신분증을 지참하지 않아도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만 19세 미만의 미성년자
  2. 처방전에 따라 약국에서 약제를 지급받는 사람
  3. 진료 의뢰 및 회송 환자
  4. 응급환자
  5. 본인 여부를 확인한 요양기관에서 6개월 이내에 요양급여를 받은 환자(재진)
  6. 거동이 불편한 자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

요즘은 지갑도 잘 들고 다니지 않아서 외출할때 신분증을 두고 다니는 경우가 많죠. 병원에서 신분증을 깜박한 경우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발급 받아 제시하면 신분증 대신 본인 확인이 가능 합니다.

  1. 앱 다운로드: 앱스토어 또는 플레이스토어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을 검색하여 다운로드합니다.
  2. 개인 선택: 개인인지 요양기관인지 선택하는 화면에서 ‘개인’을 선택합니다.
  3. 언어 선택: 기본 설정 언어를 한국어로 선택합니다.
  4. 약관 동의: 정보 수집 약관에 동의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5. 본인인증: 휴대폰 인증 또는 금융인증서 인증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본인인증을 합니다.
  6. 비밀번호 설정: 본인인증 후 사용할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비밀번호를 잊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7. 생체인증 등록: 추가로 생체인증(지문, 얼굴 인식)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8. 발급 완료: 모든 절차를 완료하면 모바일 건강보험증이 발급됩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이 완료 되면 앱 실행시 위와 같이 모바일 건강보험증 화면이 나타나며 본인 이름이 확인 됩니다. 이 화면을 클릭하면 본인 건강 보험자격과 함께 이름, 생년월일, 증번호가 확인되어 본인 확인 역할을 대신하게 됩니다.

이렇게 병원 신분증 확인 의무화 내용과 함께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병원가기전에 미리미리 설치해서 편하게 진료받으세요~



* 알아두면 좋은 꿀팁

👉 전기세 에너지 캐시백 신청 방법

👉 전세사기 피해 지원 신청방법

👉 금 투자 방법 5가지